레이블이 se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seo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8년 3월 18일 일요일

[ SEO ] 9 major Google ranking signals (구글 순위 결정의 9요소 )

구글 검색엔진은 어떤 근거로 순위를 정하는가? 구글의 순위 알고리즘은 200개가 넘는 구성요소 또는 신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요소 모두를 충족 시킬 수 있다면 좋겠지만 그럴 수는 없습니다. 또한 그럴 필요도 없을 것입니다. 모든 일에는 그 "우선순위"가 있기 마련 입니다. "SearchMetrics" , "Backlinko" 및 "SEO PowerSuite" 의 업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구글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상위 9개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보기로 합니다. 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각에 걸맞는 전략과 전술을 구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 Backlinks
"백 링크" 가 구글에서 가장 강력한 순위 요소입니다.

1.백링크 및 연결 도메인의 수 18%
seo구글은 어떻게 백링크라는 추상적인 개념을정량화 가능한 신호로 전환할까요? 여러 특허에서 구글은 "링크점수"를 계산 함으로서 이를 수행한다고 설명 합니다. 점수는 모든 수신 링크의 개별 평가점수( 일명 PageRank )와 "사이트 링크의 수"로 구성 됩니다. 따라서 링크의 절대 수량이 상당히 중요 합니다. 그러나 동일한 도메인에서 오는 링크는 수량화 되지 않습니다. 구글은 일반적으로 링크 프로필을 평가 할 때 하나만을 계산하기 때문에 중요한것은 다른 연결 도메인의 수량 입니다.

2. 링크 권한 14%
링크 품질에 대한 이야기는 수년간 계속 되어 왔으며 대부분의 SEO담당자들이 구글에 대한 가장 강력한 순위요소 중 하나라고 생각 합니다. 높은 품질의 링크가 사이트의 링크점수를 높일 수는 있지만 주의할것은 스팸성 , 저품질 사이트의 링크는 오히려 내 사이트에 해를 끼칠 수 있으니 주의 해야 합니다. 심지어는 SERP가 완전히 사라져 버릴 수도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링크감사를 실시하여 위험링크를 제거하여야 합니다. 제거 대상의 링크가 발견되면 "Google Search Console ( SEO카테고리에 자세한 설명 파일 있음 )"에 거부파일을 작성하여 업로드 하여야 합니다.

3. 앵커텍스트와 그 다양성 9%
일반적으로 최적화 하려는 페이지의 주제와 비슷한 주제의 페이지에서 링크를 가져오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구글은 어떻게 관련성을 정확하게 식별 할 수 있을까요? 첫째로로 백링크의 "앵커텍스트" 를 참고 합니다. 그리고 그보다는 조금 못하지만 페이지의 제목 또한 페이지의 내용을 알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관련성의 개념은 다양성의 개념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집니다. 백링크는 주제와 의미적으로 관련이 있을것으로 예상 되지만 너무 비슷한 앵커텍스트는 역효과를 불러올 수 있으므로 주의 해야 합니다.

🔺 On-page SEO

4. 내용 관련성 19%
당연히 컨텐츠는 원본과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구글이 순위를 매기기 위한 검색구문과 관련이 있어야 합니다. 단일 주제를 다루는 집중적인 내용이 현저히 뛰어나 효과를 발휘 합니다.

5. 컨텐츠의 길이 3%
목표로 삼아야 하는 그 이상의 컨텐츠 길이가 있는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사이트 이용자의 입장에서 충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양질의 컨텐츠가 구글의 검색요소에서 좋은 평가를 받는것은 기정 사실 입니다. 이미 상위에 노출 되고 있는 다른 사이트에서 그 컨텐츠의 양을 평가 해 비교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 User Experience & Trust

6. 클릭률 11%
클릭률(CTR)은 주어진 검색 목록을 클릭 한 횟수와 검색자에게 표시된 횟수의 비율 입니다. Google이 제출 한 수많은 특허는 SERP 클릭률이 순위에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 SearchMetrics의 순위 요인 조사 는 조사 된 모든 요인 중에서 CTR이 순위와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실 상관 관계가 인과 관계와 항상 같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클릭률 (CTR) 증가가 문자 그대로 사이트의 순위를 실시간으로 높일 수 있다는 실제 실험 을 통해 Google이 클릭률을 순위 알고리즘의 요소로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Google SERP의 여러 게재 위치에 대한 CTR 값은 검색어의 유형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1 위는 30 %, 2 위는 15 %, 2 위는 10 % 3 위를 차지했습니다. 조심해야 할 것은 봇을 사용하여 클릭 수를 조작하는 등 인위적으로 클릭률을 높이려 시도하지 마십시오. Google은 그러한 행동을 감지하는 데 매우 능숙하며 스팸 및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 장치를 사용합니다. 클릭수를 늘리는 유일한 방법은 매력적인 컨텐츠 입니다. 부가적으로 제목 및 메타태그 등의 적절한 사용 등 이 있을 수 있습니다.

7. 소셜 신호 7%
SNS와의 상호작용이 신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는 여전히 논란이 많지만 일련의 실험을 통해 SNS와의 상호작용이 많은 사이트가 검색어 상위에 노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SearchMetrics의 조사에 따르면 Facebook, Pinterest, TwitterGoogle+는 검색 엔진 순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사실 구글은 Facebook과 경쟁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간에 상당한 컨텐츠 공유가 있는것이 사실입니다.

🔺 Technical SEO factors

8. 모바일 친화 12%
구글이 "웹의 모바일 우선 색인 생성"을 시작했습니다. 즉 데스크톱과 달리 웹사이트의 모바일 버전을 따로이 색인 하기 시작 한 것이다. 이미 세계적으로 검색퀴리의 절반 이상이 모바일 기기에서 나오고 있습니다. 모바일 장치에 최적화 되지 않은 페이지는 모바일 검색 결과에서 완전히 삭제될 수 있습니다. 모바일 친화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은 많이 있지만 "반응형 디자인"은 아마도 가장 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솔루션일 것 입니다. 구글이 권장하는 솔루션 이기도 합니다.

9. 페이지 속도 7%
Google은 순위 알고리즘에서 페이지 속도를 사용하고 있음 을 공식적으로 확인했습니다 . 페이지 속도는 간접적으로 SEO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할당 된 "크롤링" 예산 때문에 사이트가 느린 경우 검색 엔진이 더 적은 페이지를 크롤링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차례로 사이트의 색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로드 시간은 사용자 환경에도 엄청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느린 페이지는 이탈률이 높고 페이지의 평균 시간이 짧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페이지 로딩 시간이 1 초 지연되면 전환 수가 7 % 감소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목표로 삼아야 할 페이지 속도는 무엇입니까? 
구글이 언급한 페이지 로드 시간은  예상 2 초 미만. 느린 페이지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스크립트, 이미지 또는 CSS 파일과 같이 페이지에 압축되지 않은 콘텐츠가 쌓여있기 때문 입니다.

이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9요소를 우선순위로 최적화 실험을 계속하고, 사이트를 개선시켜 나아간다면 우리 사이트는 분명 검색페이지 상단에 당당히 올라있지 않을까요?

2018년 3월 17일 토요일

[ SEO ] How Google makes improvements to its search algorithm ( 구글은 어떻게 검색 알고리즘을 개선하는가? )

구글 검색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합니다.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내 사이트에 들어와서 글을 읽고 서로 소통하는 바램을 가져보지 않은 사람은 아마 한명도 없을 것 입니다. 저 또한 당연히 그런 상상을 했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내 주위의 지인들 외에는 다른 사람이 들어오지 않고 텅빈 집을 지키며 오지않는 손님을 기다리는 마음으로 외로웠습니다. 조금 더 시간이 지나자 심지어는 지인들도 방문하지 않는 빈집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러던 중 "SEO"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SEO ( Search Engine Optimization )란 무었인가요? 

🔺 SEO는 말 그대로 "검색엔진 최적화" 입니다. 내 웹사이트를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엔진에서 검색결과 상단에 노출시킬 수 있도록 최적화 시키는 것 입니다.

검색엔진에 유료광고를 하지 않고 내 사이트에 컨텐츠 만으로 트래픽을 확보할 수 있게 해 주는 것 입니다.우리가 사용하는 검색 사이트는 대표적으로 "NAVER""Google"  있습니다.  네이버는 자체적으로 컨텐츠 플렛폼인 블로그 , 카페 , 지식인 , 뉴스 등을 가지고 있으며 유료로 운영되는 키워드 광고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컨텐츠가 많다보니 제3의 사이트들은 검색결과 상위노출이 거의 불가능 합니다. 하지만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웹마스터 도구" ( 클릭하시어 해당 페이지의 정보를 습득 하세요 . ) 를 사용한 기본적인 등록과 최적화는 시도 해야 합니다.

이 지면에서 다룰것은 "GOOGLE"에서의 "SEO" 입니다.

왜 구글인가요?

우리나라에서 구글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 배경에는 "크롬브라우져"의 사용증가가 커다란 이유를 차지합니다. 과거 우리나라의 컴퓨터 운영체제는 윈도우가 독점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 이유중 하나가  MAC의 사용환경에 대한 어색함 이었습니다. 하지만 윈도우 10의 사용자 환경이 앱 위주로 변경되고 애플의 약진으로 인해 MAC에 대한 거부감이 사라지자 익스플로러에 지쳐있던 사용자들이 크롬브라우저로 대거 옮겨가고 있는 추세 입니다. 2016년 이후 실제로 데스크탑과 모바일에서 브라우저 점유율이 역전되었고 ,이는 그대로 구글의 사용증가로 이어졌습니다. 우리 주위만 봐도 많은 사람들이 구글을 검색엔진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차릴 수 있을 겁니다.

어떻게 구글 "SEO"를 해야 하나요?

어떤 요인들이 검색결과 상위노출에 영향을 미치는지 랭킹 Metrics를 정확히 알고 그에 따라 사이트를 체계화 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구글검색엔진이 어떻게 작동되고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알아야 할 것 입니다. 그 전에 구글은 지면 광고를 통해 돈을 버는 최고의 기업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우리가 검색을 하게 되면 구글은 검색결과 지면에 광고를 게재하여 돈을 법니다. 하지만 광고만 계속되면 이용자는 지루함을 느끼게 됩니다. 따라서 적절한 자연어 검색 결과를 광고와 함께 노출시키게 됩니다. 그들의 입장에서 자연어 검색 결과는 그들의 광고와 어울려 이용자의 효율을 극대화 함으로서 점점 더 많은 이용자를 확보 할 수 있는 도구가 되어야 할 것 입니다.

구글은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웹사이트를 둘러싸고 있는 수백가지 요소들을 살펴 봅니다. 우리의 임무는 어떤 알고리즘이 어느 요인에 초점을 맞추는지 알고 웹사이트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 입니다. 구글의 알고리즘이 어떻게 적용되어 사이트의 순위를 결정하는지는 누구도 100% 알 수 없습니다. 그 요소는 늘 논쟁과 추측의 대상이 됩니다. 그리고 매일매일 업데이트 됩니다. 1년내에 500건이 넘는 업데이트가 알고리즘에 적용 됩니다. 구글은 그 업데이트 중 일부만을 발표하며 시점과 시기또한 정확히 알려주지 않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구글의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도구들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 잠시 시간을 내어 "MozCast.com" 으로 이동하십시오.

이 사이트는 일정 기간 동안 알고리즘의 난기류를 보여주는 보고서를 제공 합니다. 우리 사이트가 갑자기 큰 순위의 변화를 보이거나 이상 트래픽이 발생할 경우 사이트에 들러 알고리즘의 변화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글을 쓰고 있는 현재 날씨는 평상시 보다 다소 높으며 온화하지 못한 날씨 입니다. 이는 더 많은 사람들이 상당한 변화를 겪었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많은 알고리즘 업데이트가 푸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알고리즘은 끊임없이 진화하기 때문에 SEO를 위해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 합니다. 과거에 어떤 유형의 업데이트가 발생 했는지 확인하고 구글의 최종 목표를 예상 해 보세요. 그런 다음 끊임없이 우리의 사이트를 최적화 하며 맞추어 나아가야 합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J5RZOU6vK4Q
구글이 어떻게 검색엔진 알고리즘을 향상시켰는지 동영상을 보며 살펴 보기로 합니다.

이 글은 독자 여러분과 내가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구글이 정하는 최고의 사이트로서 최상위에 함께 자리할 때 까지 SEO를 지속하는 한 계속될 것입니다.


2018년 2월 5일 월요일

Coursera - seo

전 세계 유명 대학을 동시에 다녀보자.
블로그에 글을 써 보기로 한지 어언 한달이 되어간다. 그 동안 어떤 글을 써야 하는지,어떻게 블로그를 꾸며야 하는지,어떻게 내 글을 많은 사람들이 보게 할 수 있는지 고민이 고민이 많았다. 그리고 구글 에드센스를 통해 수익을 얻고 싶다는 마음도 생겼다. 궁금한 것은 못참는 성격이라 공부를 해 보기로 했다. 이왕 공부를 할거면 자세히 해 보기로 했다. 방법을 찾다가 예전부터 눈여겨 보던 강의 사이트인 "Coursera"가 생각 났다. 강의 사이트와 좋은 강의는 생각보다 많았지만 이왕 하는거 공인된 강의를 들어 보기로 한 것이다.  "Coursera" 미국의 교육 및 기술 회사이다. 스텐포드 대학의 "Andrew NG"와 "Daphne Koller"가 비싼 등록금 때문에 교육의 기회를 가질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전세계 유수의 대학들의 명 강의를저렴한 가격에 온라인으로 들을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사이트 이다. 협력 대학 으로는맨체스터대,듀크대,스탠포트대,런던대,캘리포니아대,연세대,브라운대,펜실베니아주립대,취히리대,상파울루대,칼텍,북경대,라이스대,예일대,시드니대,존스홉킨스대,보코니대 등 이름만 들어도 알 수 있는 세계 유수의 대학 들이 있다.
이곳에서 예술,인문학,경영학,컴퓨터공학,수학,언어,생명공학,자연과학,자기계발 등 다양한분야의 수준 높은 강의를 들을 수 있다. 사이트 가입 후 초기 화면에서 자신의 관심 분야를 고를 수 있고 나는 "Data Scientist","Marketing Specialist" ,"Data Analyst" 이 세가지 분야를 선택 했다. 정학히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그로스 해킹" 에 부합되는 분야에 초점을 맞추어 공부 해 보기로 했다. 세 분야들 중 우선 "Marketing Specialist"쪽에 속해있는 수업 중 "Search Engine Optimization" 을 첫번째 수업으로 선택 했다. 우선 블로그를 가지고 있으니 내 블로그를 "SEO"해 보기로 했다. 다양한 방법과 관련 분야에 대한 6개 코스의 강의가 진행 될 것이다. 강의는 " University of California,Davis"의 강의 이다. 사이트에서 예상하는 강의 기간은 대략 4개월 정도를 책정해 두었다. 하지만 온라인 강의의 특징상 부지런히 하면 짧은 시간에 끝낼 수 있을것으로 보인다. 가장 걱정되는 부분은 역시 영어를 어떻게 극복하는냐 일 것이다. "영어 사이트를 정복하기 위한 비밀 병기" 가 조금은 도움이 될 것이다.어렵고 험난한 길을 선택한 내 자신이 밉고 후회 되지만 하나씩 이루어 나아갈 때의 기쁨은 두배 세배 일 것이다. 6개의 코스가 진행 되는 동안의 학습 과정과 그 사이사이 필요한 정보들을 습득 할 때 마다 여기에 기록하며 나만의 학습 일지를 만들어 나갈 생각이다. 관심있는 분들은 내 블로그의 글을 보며 함께 학습 할 수 있을 것이다. 기대와 걱정 속에 시작되는 나의 작은 도전에 함께 동참해 주길 고대한다. 응원을 보내주리라 믿으며 나의 여정을 시작해 본다.